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vs 도쿄 홈카페 스타일 (소품, 가전, 디자인)

by 맛있게 관리하는 식단 이야기 2025. 7. 25.

홈카페 문화는 도시별로 그 스타일과 분위기가 다르게 발전해왔습니다. 특히 서울과 도쿄는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커피 문화를 동시에 갖춘 대표 도시로, 홈카페 스타일에서도 각자의 개성을 드러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과 도쿄의 홈카페 트렌드를 소품, 가전, 디자인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비교해보며, 각 도시의 감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품 선택, 감성의 디테일이 갈린다

서울의 홈카페 소품은 ‘미니멀한 감성’과 ‘핵심 포인트 소품’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아기자기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머그컵, 베이지 또는 파스텔톤의 패브릭, 한글 레터링이 들어간 보틀 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SNS 감성을 살린 스티커, 엽서, 간단한 화병이나 라탄 소재 소품들이 공간을 은은하게 채워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도쿄의 홈카페 소품은 ‘생활 속 감성’과 ‘전통적 요소의 현대적 재해석’이 돋보입니다. 유리 대신 도자기 소재의 컵이나, 일본 전통 패턴이 들어간 텍스타일 소품, 티도구와 잘 어울리는 나무 트레이가 대표적입니다. 도쿄 스타일은 전체적인 소품의 색감이 어둡고 단정하며, 자연을 모티브로 한 요소들을 공간에 녹여내는 경향이 강합니다. 또한 서울은 포토존 중심의 꾸미기 문화가 발달한 반면, 도쿄는 실용성과 일상 속의 여유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 홈카페에서는 무드등과 감성 엽서, 노트북 스탠드가 자주 보이지만, 도쿄 스타일은 티포트, 작은 찻잔, 책장과 연결된 테이블 구성 등 조용한 휴식을 위한 소품들이 중심이 됩니다.

도쿄 스타일 전통적 감성 홈카페

가전 제품, 서울은 실용 도쿄는 감성

서울 홈카페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가성비와 기능성 중심의 소형가전 선택입니다. 특히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1인 가구나 직장인을 중심으로, 빠르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전자동 머신이나 캡슐머신이 인기입니다. 네스프레소, 브레빌, 드롱기 등의 브랜드가 주로 사용되며, 제품 색상은 화이트 또는 베이지톤이 선호됩니다. 서울에서는 커피머신뿐 아니라, 전기포트, 토스터기, 그라인더 등의 소형가전도 홈카페 구성을 위한 필수템으로 간주됩니다. 무엇보다 각 가전들이 디자인적으로 잘 어우러지도록 컬러 매칭이 중요하며,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정돈된 가전 배치’가 인기 포인트입니다. 반면 도쿄의 홈카페는 ‘소형이지만 감각적이고 정갈한’ 가전에 초점을 맞춥니다. 일본 브랜드인 발뮤다, 라쿠첸, 리브레 등의 제품들이 인기인데, 특히 발뮤다는 조용하면서도 직관적인 작동법과 심플한 디자인으로 도쿄 홈카페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또한 도쿄 홈카페는 커피보다는 ‘차(茶)’ 중심의 셋업도 많습니다. 드립포트보다는 차 주전자, 다기세트, 또는 다도 도구가 가전처럼 공간에 배치되며, 전통과 현대가 혼합된 스타일을 완성합니다.

서울 vs 도쿄 홈카페 비교 구성

인테리어 디자인, 콘셉트가 다르다

서울의 홈카페 디자인은 ‘SNS 감성’과 ‘포토존 중심’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미니멀하고 정제된 공간에 포인트 소품이나 간접 조명을 활용하여 사진 찍기 좋은 구도를 완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카페풍 인테리어’가 중요시되며, 타일 벽지, 원목 선반, 커피머신 전용 선반 등을 DIY로 설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서울의 홈카페 공간은 자취방, 오피스텔, 작은 거실 등 작은 공간에 적합한 구성이 주를 이룹니다. 최근에는 무드등, 아로마 캔들, 아트 포스터 등을 활용한 ‘무드 연출’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룸투어 콘텐츠도 서울 홈카페 인테리어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반면 도쿄의 홈카페 디자인은 ‘생활과의 일체감’과 ‘여백의 미’를 중시합니다. 공간 자체가 카페처럼 보이기보다는, 일상적인 거실 또는 주방 공간에 자연스럽게 커피나 티를 즐길 수 있는 코너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책장이 있는 거실 한 켠에 작은 테이블과 스툴, 조명을 두어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주방의 창가에 나무 트레이와 찻잔을 놓아 자연광을 즐길 수 있게 만드는 것이죠. 또한 도쿄 스타일은 '숨은 정리'가 강점입니다. 잡동사니나 가전을 수납함 속에 정리해두고, 드러나는 부분은 최소화하여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는 구조로 꾸미는 것이 특징입니다.

서울과 도쿄, 두 도시의 홈카페 스타일은 각각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 감성이 뚜렷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서울은 감각적이고 포인트가 살아있는 SNS 감성의 홈카페, 도쿄는 정적이고 생활 친화적인 공간 중심의 홈카페가 강점입니다. 어떤 스타일이 더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나의 성향과 공간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고 믹스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홈카페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당신의 홈카페는 어느 쪽에 더 가까우신가요?

반응형